허리뼈는 팔, 다리의 뼈처럼 하나의 통뼈가 아니라 낱개의 척추뼈가 서로 관절을 이루면서 연결되어 있어 굽히기, 펴기, 회전등 유연한 동작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낱개의 척추뼈들은 박스모양으로 탑을 쌓듯이 올려져 있으므로 서로를 잡아주는 관절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관절은 주로 척추뼈의 뒤쪽에 위치하며 갈고리 모양이 엇갈려 위치하여 맞물리도록 되어 있습니다. 만약 어떠한 이유에서 오랜 시간동안 후방관절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면 병적인 변화가 오게 됩니다.
염증성 반응이 심하면 후방 관절염이 생길 수 있지만 어떤 경우에는 관절의 기능이 떨어져 관절이 헐거워지면서 척추뼈가 나무토막이 무너지는 것처럼 어긋날 수 있습니다. 주로 앞쪽으로 미끄러지므로 전방 전위증이라고 부릅니다. 미끄러지는 원인은 앞서 설명한 것처럼 후방관절이 헐거워져서 미끄러질 수도 있지만 후방관절에는 이상이 없으나 후방 구조물인 뼈에 이상이 생겨 미끄러지는 경우로 나눌 수 있고 증상에는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뼈의 구조적인 이상이므로 허리 통증을 호소하며 또 척추뼈가 미끄러지듯이 어긋나면서 신경이 지나가는 공간을 좁혀 척수강 협착증의 증세를 유발 할 수도 있습니다.
치료는 보존적 치료와 수술로 나뉠 수 있으며 보존적 치료로는 통증치료와 허리 근육을 강화하여 미끄러지려는 힘을 최대한 줄이는 운동요법, 자세 교정등이 포함 됩니다.